본문 바로가기
일상과 생각

헌재,헌법재판소의 기능, 역할, 구성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다

by 무루우욱 2025. 3. 25.
반응형

 

 

 

 

헌법재판소의 권한, 구성, 기능과 주요 역사적 판결을 통합하여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
헌법재판소의 권한·구성·기능 및 주요 판결

📌 Ⅰ. 헌법재판소의 정의와 의의

헌법재판소는 헌법질서를 수호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대한민국의 특별한 헌법기관입니다. 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(제6공화국 헌법, 1988년 시행)에 따라 설치되어 1988년부터 운영 중입니다.

  • 근거조항: 대한민국 헌법 제111조~제113조

📌 Ⅱ. 헌법재판소의 구성

① 재판관 구성

  • 헌법재판소는 총 9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됩니다.
  • 대통령이 임명하며, 그 중 3명은 국회가 선출한 사람을, 3명은 대법원장이 지명한 사람을 각각 임명합니다.

② 재판관 자격 및 임기

  • 법관 자격을 가진 40세 이상의 법조 경력자로 제한됩니다.
  • 재판관 임기는 6년이며, 연임이 가능합니다.

③ 헌법재판소장

  • 대통령이 국회 동의를 얻어 재판관 중에서 임명하며, 임기는 재판관과 동일하게 6년입니다.


 

📌 Ⅲ. 헌법재판소의 권한 및 기능

헌법재판소는 다음의 주요 권한을 수행합니다.

① 위헌법률심판

  • 법률의 헌법 위반 여부 판단(법원의 제청 필요)
  • 위헌 결정 시 즉시 해당 법률 효력 상실

② 헌법소원심판

  • 기본권 침해 여부를 당사자가 직접 청구할 수 있는 심판

 

유형 내용
권리구제형 헌법소원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기본권 침해 시 구제 요청
위헌심사형 헌법소원 법원의 위헌 제청 거부 시 법률의 위헌 여부를 헌법재판소에 직접 청구


③ 탄핵심판

  • 대통령 및 고위공직자의 헌법·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탄핵의 정당성 판단
  • 탄핵 결정 시 공직자 즉시 파면


④ 정당해산심판

  • 민주적 기본질서 위배 정당의 해산 여부 결정
  • 해산 결정 시 해당 정당 즉시 해산 및 재설립 금지


⑤ 권한쟁의심판

  • 국가기관, 지방자치단체 간 권한 다툼 해결
  • 권력 간 균형과 헌법적 질서 유지

 

📌 Ⅳ. 헌법재판소의 재판절차와 결정 방식

  • 재판관 7명 이상 출석으로 심리
  • 결정은 출석 재판관 과반수 찬성으로 결정하나, 탄핵·정당해산·위헌법률심판은 6명 이상 찬성 필요
  • 결정은 모든 국가기관을 구속하며 불복 불가


📌 Ⅴ. 헌법재판소의 역사적 중요 판결 5가지

다음 판결들은 헌법재판소의 역사상 가장 의미 있는 판결들로서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.

🔸 (1)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(2017.3.10)

  • 사유: 국정농단, 헌법 및 법률 위반 행위
  • 결정: 재판관 전원일치(8:0)로 탄핵 인용, 즉시 파면
  • 의의: 대한민국 헌정사 최초 대통령 파면 사례, 법치주의와 책임정치 확립

🔸 (2) 노무현 대통령 탄핵 기각 결정 (2004.5.14)

  • 사유: 정치적 중립 위반 및 정치자금 의혹
  • 결정: 5명 기각, 3명 일부인정(탄핵 불가), 결과적으로 기각
  • 의의: 엄격한 탄핵요건 해석으로 대통령제 안정성 유지에 기여

🔸 (3) 군가산점제 위헌 결정 (1999.12.23)

  • 사유: 병역이행 남성에 대한 공무원 시험 가산점 제도의 여성·장애인 차별
  • 결정: 7:2로 위헌 결정
  • 의의: 성별·장애 차별적 제도 폐지로 평등권 강화

🔸 (4) 간통죄 위헌 결정 (2015.2.26)

  • 사유: 배우자 있는 사람 간의 성관계를 처벌하는 간통죄의 기본권 침해 여부
  • 결정: 7:2로 간통죄 위헌 결정, 즉시 폐지
  • 의의: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자유 보장 강화

🔸 (5)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(2019.4.11)

  • 사유: 낙태죄가 여성의 자기결정권 및 신체 자유권 침해
  • 결정: 7:2로 헌법불합치 결정, 입법 보완 시한 제시
  • 의의: 여성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시대적 변화 반영

 

 

 

📌 Ⅵ. 헌법재판소의 헌법적 의의와 역할

헌법재판소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대한민국 헌법 가치를 수호하고 발전시켜왔습니다.

  • 국가 권력의 헌법적 통제 및 제한
  • 국민 기본권의 실질적 보호와 권리구제
  • 민주적 기본질서와 법치주의 확립
  • 국가기관 간 권한조정과 권력 균형 유지

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역할은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로서 성숙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으며, 앞으로도 국민의 기본권 보호와 법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심 기관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.


이상으로 헌법재판소의 권한·구성·기능과 대한민국의 역사적 중요 판결들을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설명드렸습니다.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.

반응형